입에서 쇠 맛이 나는 이유 내 증상도 해당될까 찾아보세요
입에서 쇠 맛이 나는 이유 내 증상도 해당될까 찾아보세요
실제로 쇠를 먹은 게 아닌데!!
입에서 쇠 맛이 느껴지는 증상.
한두 번씩은 경험 있으실 꺼에요.
가벼운 감염증 때문일 수도 있고,
신장기능 문제처럼 큰 문제가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.
그에 따라 해결 방법도 달라지겠죠?
입에서 쇠 맛이 나는 이유,
나에게 해당되는지 체크해 보세요.
먼저, 내가 처방받아 먹는 약이나
비타민제 때문에 입에서 쇠 맛이 날 수 있어요.
입을 마르게 하는
테트라사이클린 같은 항생제나
알로푸리놀 같은 통풍약,
일부 정신과 약과 심장약 복용 후
있을 수 있는 증상이고요.
종합비타민제 중
아연, 철, 구리 함량이 높은 것들과
감기약들 중 아연이 들어 있는 약들 먹어도
쇠 맛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.
약 복용을 중지하면 없어질 꺼고요.
알레르기 비염
부비동이나 귀, 상부 기관지 감염증
코로나19 감염시에도
입에서 쇠 맛이 날 수 있습니다.
흔히 알고 있는 감기 증상들 있으면서
입에서 쇠 맛이 난다면,
우선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겠죠.
소화기 문제 떄문에도
입에서 쇠 맛이 날 수 있어요.
가슴쓰리고 가스차고, 신 물 넘어오고.
이런 증상 있으면서 입에서 쇠 맛 난다면
먹은 음식 체크하고, 식습관 체크하고
소화기 문제를 바로잡으면
자연스럽게 좋아질 수 있을 꺼에요.
심리적으로 불안할 때에도
몸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되면서
미각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
입이 마르면서 쇠 맛을 느끼기도 합니다.
음식 관련해서는
pine-nut syndrome이라고 해서
잣을 먹고 12~48시간 후
입에서 쇠 맛이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는데
흔한 케이스는 아니고요.
이외에, 입안 위생 케어가 잘 되지 않아도
쇠 맛이 느껴질 수 있어요.
구취도 같이 있을 꺼고요.
임신하신 경우에도
입에서 쇠 맛이 나는 증상,
있을 수 있습니다.
역시 흔하지는 않지만
신장 문제, 만성 신부전 환자분들 경우에도
입에서 쇠 맛이 날 수 있습니다.
치매 초기 증상의 하나일 수도 있고,
항암치료 중이어도,
뇌 수술 후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.